본문 바로가기
취향취미공부기록

위스키 기본 용어 알고 마시기🥃

by ol_ 2022. 9. 6.
반응형

[위스키 기본용어 알고마시기]

위스키를 마트 진열장에서 보고, 유명 브랜드와 기존에 마셔봤던 위스키에 의존하여

검색을 통해 위스키 구매를 하다가 위스키에 대해서 공부를 하며 접하다보니 점점더 어려워 지는거 같아요! 

생소한 용어도 많아, 위스키 용어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전부는 아니지만 몇가지 전문 용어를 정리해 봅니다. 


 

피트

위스키 증류 전 보리를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이탄(피트)을 이용한 위스키.

*스코틀랜드에서는 위스키의 재료인 맥아를 훈연해 독특한 향취를 더하는데에도 쓰인다. 

 

PPM

'part per million'의 줄임말로 백만분의 일이라는 뜻.

위스키 속에 있는 페놀의 양을 측정하는 단위. 

 

가마(Kiln)

몰팅 과정에서 싹을 틔운 보리를 건조시키는 가마. 

가마 위에는 탑 형태의 지붕(파고다 루프)이 있다. 

 

엿기름

그리스트(Grist)

위스키를 만들기 위해 분쇄한 맥아가루. 엿기름. 

 

드래프트(Draft)

당이 모두 발효되어 알코올로 변한 뒤 남은 찌꺼기.

이찌꺼기는 가축 사료로 쓰인다. 

 

드램(Dram)

스카치 위스키를 측정하는 전통적인 단위 40~50ml 정도의 분량이다. 

 

로와인(Low Wine)

1차 증류에서 만들어진 증류액. 알코올 도수는 21%정도이다.

로와인은 2차 증류를 통해 알코올 도수 65~70%까지 농축된다.

 

맥아즙

맥아즙(Wort)

보리에서 나온 당분이 뜨거운 물에 녹아서 만들어진 즙. 

 

매시턴(Mash Tun, 당화조)

매싱 작업이 이루어지는 거대한 통. 나무나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든다. 

 

바디

위스키를 마셨을 때 입안에서 느껴지는 질감 및 무게감. 바디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알코올 도수이다. 

알코올 도수가 높을수록 점성이 높아지고 입안에서 무겁게 느껴진다.

라이트(light), 미디엄(medium), 풀(full) 바디로 구분한다. 

 

싱글 캐스크(single Cask)

한 오크통에 들어 있는 원액을 병입한 싱글몰트 위스키.

 

위스키의 눈물

위스키가 담긴 잔을 흔든 다음 가만히 두면 얇은 막이 생겨서 천천히 흘러내린다. 이것을 눈물이라고 부른다. 

 

위스키 오크통

피니싱(Finishing)

숙성이 끝날 무렵 원래의 오크통에서 다른 오크통으로 옮겨 담아 숙성을 마무리하는 것을 말한다.

다른 오크통(주로 셰리오크통)에서 몇 달 더 숙성시켜 더 복합적이고 폭넓은 아로마를 만드는 기술. 

 

효모

발효를 촉발시키는 미생물. 효모는 맥아즙의 당분을 먹고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를 만들어낸다.

 

페를라주(Perlage)

병을 흔들어 기포를 만드는 기술. 기포가 오래갈수록 알코올 도수가 높다.

 

퀘익

퀘익(Quaich)

스코틀랜드의 전통 잔. 모양은 가리비 모양이고, 처음에는 나무로 만들었으나 지금은 은이나 주석으로 만든다.

위스키를 시음할 때 사용한다. 

 

슬란지바

게일어로 '좋은 건강' 이라는 뜻. 위스키를 들고 건배할 때 쓰는 말이다. 

 

싱글 캐스크(Single Cask)

한 오크통에 들어 있는 원액을 병입한 싱글몰트 위스키. 

반응형

댓글